본문 바로가기

홍보 센터

카레 및 향신료 국제 심포지엄

카레 및 향신료 국제 심포지엄

목록으로 가기

제 5회 카레 및 향신료 국제심포지엄 / 2016. 4.272018.06.08

  • 제 5회 카레 및 향신료 국제심포지엄 카다로그입니다.내용은 이미지하단에 텍스트로 제공합니다.

제 5회 카레 및 향신료 국제심포지엄 개요


1. 주제: 세계의 카레 건강한 인류(Curry for World! Healthy Human)
2. 일시 및 장소: 2016. 4.27(수),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그랜드볼룸
3. 프로그램

카레 및 향신료 국제심포지엄 개요 프로그램 일정표
09:30~10:10 등록
10:10~10:30 개회사 임승택
한국식품과학회장
축사 김현위 중앙연구소장
㈜ 오뚜기
Session I Anti-cancer Effect of Curry
10:30~11:10 Androgen Receptor Degradation Enhancer ASC-J9 to Suppress Androgens-related Tumors and Skin Diseases Chawnshang Chang교수
Rochester univ.,
USA
11:10~11:50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Curcumin on Prostate Cancer Patients 한덕현 교수
성균관대학교 삼성병원
11:50~12:50 점심식사
Session II Curry for Longevity
12:50~13:30 Curcumin Extends Life in Animal Models, Future Human Applications: Potential of Curcumin as An Anti-aging Natural Compound Lirong Shen 교수
Zhejjang univ.,
China
13:30~14:10 Adventure of Curry 이욱정
KBS PD
14:10~14:40 휴식 (카레 응용요리 시식)
Session III Curry for Health
14:40~15:20 Curcuma longa L. Turmeric Controls ER Stress and Hepatic Dysmetabolism 채한정 교수
전북대학교
15:20~16:00 Optimization of Turmeric Extract-loaded Nanoemulsions and Scale-up Processing 김준태 교수
계명대학교
16:00~ 폐회사


4. 발표 내용 요약

1) Androgen Receptor Degradation Enhancer ASC-J9 to Suppress Androgens-related Tumors and Skin Diseases
Chawnshang Chan 교수, 로체스터대학


남성호르몬수용체는 남성호르몬과 관련성이 깊은 여드름, 탈모,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간암의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국 로체스터 대학 쟝첸샹 교수팀은 카레 성분인 커큐민의 유도체인 ASC-J9가 남성호르몬수용체 관련 암, 피부질환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발표했다. ASC-J9는 세포질에서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삼차구조를 변형시킨다. 이러한 구조 변형을 통해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 분해가 일어나기 쉽게 하여 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카레 성분인 커큐민의 항암, 항피부질환 효과가 기대 된다.



2) 전립선암 환자에서 커큐민의 잠재적 효능
한덕현 교수, 성균관 대학교 삼성병원


2016년, 전립선암은 미국 남성 암환자 가운데 21%(180,890명)를 차지하며, 이중 26,120명이 올해 사망할 것으로 추정되는 암 사망률 2위의 질병이다. 최근 커큐민의 전립선 항암효과가 주목받고 있는데, 전립선 암세포실험(DU-145)에서의 효능은 이미 확인되었고 앞으로도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계속될 전망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전립선 암세포(DU-145)의 성장과 전이에 대한 커큐민의 항암효과는 세포내 MMP-2와 MMP-9 발현 억제를 통해 나타남을 체외, 체내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그리고 다른 연구에서는 커큐민이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ndrogen Receptor(AR)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과 그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또한, AR의 중요한 co-regulator인 β-catenin 또한 커큐민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커큐민이 세포 내 Wnt/β-catenin 신호전달과정을 조절하여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증명하였다.
최근에는 한 연구에서는 혈중 전립선특이항원(Prostate-specific antigen, PSA)수치가 높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비교연구를 통해, 6개월간 커큐민을 꾸준히 복용하면 혈중 PSA의 수치가 크게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우리는 무작위 비교연구를 통해 전립선암환자에 미치는 커큐민의 순기능을 연구할 예정이며, 이 연구를 통해 전립선 암환자들에 대한 커큐민의 효능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3) Curcumin Extends Life in Animal Models, Future Human Applications: Potential of Curcumin as An Anti-aging Natural Compound
Liring shen 교수, 저장대학교

강황(학명: Curcuma longa Linn.)은 커큐민의 주요 원료이며 남아시아지역에서는 약 2,500년 전부터 식품향신료,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미국, 인도, 일본, 대한민국, 태국, 중국, 터키, 남아프리카, 네팔, 스리랑카 등 전 세계적으로 캡슐, 타블렛, 연고, 에너지음료, 비누 그리고 화장품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커큐민의 전 세계 소비량은 연간 약 6억톤에 이른다.
커큐민의 가장 잘 알려진 효능은 바로 체내의 해로운 산화물질을 제거하거나 중화할 수 있는 항산화능력으로, 이 외에도 항염증, 항비만, 항경련, 항알러지, 미생물생장억제, 항류머티즘 그리고 항암효과 등 여러 유익한 효과들이 있고 이로 인해 비만, 간질환, 신경질환(알츠하이머, 파킨슨), 심혈관질환, 관절염, 크론병 등을 방지하거나 치료하는 데 쓰여 왔다. 커큐민을 섭취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현재까지는 보충제, 의약품을 통한 단기간 투약보다는 식품을 통해 장기간 섭취하는 것이 보다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다.
커큐민의 항노화 메커니즘은 항산화특성과 연관성이 있는데,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세포 내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을 증가시킴을 통해 반응성 강한 활성산소를 줄이고, NF-κB/mTOR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여 노화경로를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최근 동물모델(선충, 초파리, 쥐)의 노화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연구에서 증명되었는데, 이것이 실제로 인간의 수명 연장에도 적용되는지는 아직 상세히 알려진바 없지만 향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임상연구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4) 카레의 모험
이욱정, KBS PD

KBS 이욱정 PD는 '카레의 모험' 이라는 주제로 카레의 탄생과 진화의 여정에 관한 이야기를 발표한다.
카레는 오늘날 70억 인류가 즐겨먹는 요리이다. 이 매혹적인 향기의 요리인 카레는 세계인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 인류와 함께 카레도 먼 여행을 하였고, 19세기 해가지지 않는 땅이라 불렸던 대영제국에서 시작되었다. 인도 아대륙과 아프리카 방대한 식민지를 거느리며 세계의 중심이 되었던 이곳에서 카레의 모험은 시작된 것이다.
카레는 인도, 영국, 아프리카, 미국, 일본 등을 거치며 다양한 레시피로 개발되었다.


5) Curcuma longa L. Turmeric Controls ER Stress and Hepatic Dysmetabolism

채한정 교수, 전북대학교

강황은 간질환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수년간 사용되어 왔다. 이 실험은 강황 추출물과 강황추출물 속의 활성물질인 커큐민이 간 손상에 보호활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사염화탄소(CCl4)를 이용하여 간 손상된 모델을 만들었다. CCl4에 한 그룹은 3일간 노출 시키고 다른 모델은 4주간 노출 시켜서 각각 단기모델과 장기모델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간 손상을 일으킨 쥐에 강황추출물을 일정량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결과 CCL4는 소포체 스트레스와 AST, MDA를 증가시키고, SOD와 GPx활성을 낮추었는데 강황추출물과 커큐민이 이런 지표를 회복시켜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강황추출물은 간의 GSH 농도의 감소와 간 지질 과산화를 막아주는 것도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강황추출물이 간 독성을 보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강황추출물 나노에멀전의 최적화 및 대량생산을 위한 Scale-Up

김준태 교수, 계명대학교

커큐민은 강황 속의 주요 기능성 물질 중 하나로 다양한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많은 기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와 낮은 신체이용률로 인하여 사용이 많이 제한되어 있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큐민을 나노에멀전화 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될 오일은 커큐민 용해도 실험에서 가장 큰 용해도를 보인 MCT오일을 사용하였다.
MCT오일에 강황추출물을 녹인 후 물, 유화제를 적절한 비율로 조합하고 초고속 균질기와 초고압기를 이용하여 커큐민 나노에멀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에멀전은 입자의 크기와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적 비율을 도출하였다. 나노화 된 입자가 용해성과 생체이용률을 개선해 줄 것으로 기대되며 후에 제품에도 적용 될 예정이다.


로비대형현수막

로비대형현수막

카레요리홍보

카레요리홍보

카레요리홍보

카레요리홍보

카레제품홍보

카레제품홍보

향신료홍보

향신료홍보

세미나 전체사진

세미나 전체사진

단체사진

단체사진

카레요리시식

카레요리시식

로비 전체사진

로비 전체사진


TOP